Fi-Fi

실시간 미국채 금리

1년물 금리

%

2년물 금리

%

3년물 금리

%

5년물 금리

%

10년물 금리

%

20년물 금리

%

30년물 금리

%

미국채 1년물/10년물 장단기 금리차

0.00%

장단기 금리차는 무엇을 의미하나요?

채권 금리는 우리가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를 의미해요.
채권을 발행한 사람은 채권을 팔면서 현금을 얻게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, 채권을 산 사람은 채권에 적혀있는 금리에 따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이죠.
이러한 채권 중에서도 국채는 말 그대로 국가가 발행한 채권이에요. 즉, 국채 금리는 우리가 국가에게 돈을 빌려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를 의미하는 것이죠.

일반적으로 우리는 국가에게 돈을 오래 빌려줄 수록 더 높은 이자를 받아요. 결국 돈을 빌려준다는 것은 일정 기간 동안 내 돈이 묶여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니, 더 오래 빌려줄수록 그 시간에 대한 대가를 더 요구하는 것이죠.
그리고 채권의 이자는 내 돈을 떼먹힐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수록 높아지기도 해요. 당연히 1년 뒤의 상황을 예측하는 것보다는 10년 뒤의 상황을 예측하는 것이 더 어려울테니, 돈을 오래 빌려줄수록 이자가 높은 것이 당연하겠죠?

하지만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면 이야기는 달라져요. 당장 현재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면, 시장에 참여한 사람들은 지금 돈을 빌려주면 원금조차 회수하지 못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게 돼요.

그러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이런 리스크를 방어하기 위해 1년, 2년 정도의 짧은 기간의 채권의 이자를 더 많이 달라고 요구하게됩니다.
경제 상황이 더 안 좋아질수록 이런 심리는 더 가속화되고, 결국은 돈을 오래 빌려주는 것보다 짧게 빌려주는 채권의 금리가 더 높아지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기까지 해요.

이런 현상을 장단기 금리역전 이라고 해요.

위의 1년물/10년 금리차는 미국의 국채 중 10년 동안 돈을 빌려주는 채권의 금리에서 1년 동안 돈을 빌려주는 채권의 금리를 뺀 수치에요.
즉, 위 숫자가 0보다 작다면 현재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이고, 0보다 높다면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.